회계용어 3

[회계용어 요약] 외상매입금 VS 미지급금 VS 미지급비용​

외상매입금 VS 미지급금 VS 미지급비용 요약 ​ 일반적으로 외상매입금과 미지급금은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부채계정이란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두 계정의 근본적인 차이는 일반적 상거래냐 아니냐의 차이입니다. [외상매입금]은 상품, 제품 등의 매출과 관련된 재고자산을 구입하는 경우의 매입 채무로서 당해 회사의 사업목적을 위한 경상적인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매입 채무를 말합니다. 이와 달리 [미지급금]은 당해회사의 사업목적을 위한 경상적인 영업활동 이외에서 발생하는 거래나 계약관계 등에 의하여 이미 확정된 채무 중 아직 지급이 완료되지 아니한 것으로 결산기말 현재 1년 이내에 상환하기로 되어 있는 부채를 말합니다. 또한 미지급금과 미지급비용은 지급 시기가 지났느냐 아직 도래하지 않았느냐에 따라 두 계정과목을 구분..

[용어] 경비지출관리_ 선급금vs선급비용 차이(ft.세포아소프트)

안녕하세요, 세상을 포용하는 아름다운 사람들 전자구매관리/경비지출관리/전자계약관리/전자인장관리솔루션(시스템) 구축 및 클라우드 서비스하고 있는 지출관리 플랫폼 No.1 #세포아소프트 입니다. 오늘은 재무제표를 작성하거나 모니터하실때 많이 볼 수 있는 용어, "선급금과 선급비용의 차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요약 선급금과 선급비용은 채무가 확정되기 전에 미리 선급(선금)으로 지출한 돈을 말합니다. 선급으로 지급한 목적이 완료되어 재정상태표의 자산(운임, 보험료, 연구비 등) 되어 재정운영표의 비용 계정이 되는 것은 선급비용입니다. 즉, 선급이 아닌 일반적으로 채무가 확정되어 지출하는 계정과목이 재정상태표의 자산 계정과목에 해당하는 것은 "선급금"이고, 재정운영표의 비용 계정과목에 해당하는 것은 "선급비..

세포아소프트가 회계용어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_가지급금vs선급금vs전도금 차이

요약 가지급금, 선급금, 전도금은 회사에서 미리 대금을 지급할 때 사용하는 계정이지만, 용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가지급금"은 주로 임직원이 업무상 필요에 의한 가불로서 그 사용목적이 명확하지 않아 대강 계산하여 지급하는 경우 사용하는 계정입니다. "선급금"은 사용목적을 정확히 알고 있는 계약금 형태로 미리 지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계정입니다. "전도금"은 사업장이 여러 개 있을 경우 사업장의 운영비를 충당하기 위해 본사에서 보내주는 경비를 통틀어 사용하는 계정입니다. 1. 가지급금 현금 지급은 이루어졌으나 어디에 어떻게 쓰일지 몰라 회계처리상 계정 과목(용도)를 명시하지 않은 법인의 지출금을 말합니다. 가지급금은 대주주, 임원 등 특수관계자에게 용도 지정 없이 지불되는 업무 무관분과 직원 ..